언리얼 엔진 환경설정파일(ini) 사용법
ini파일 구조와 언리얼에서의 사용법
환경설정 파일 개요
- 설정 파일에 대한 표준. 확장자가
.ini
이다. - 구조
- 매개변수는 등호로 구분
이름 = 값
. 값은 비워둘 수 있다. - 섹션은 괄호로 구분
[섹션1]
- 주석은 세미콜론으로 구분
; 주석
- 매개변수는 등호로 구분
언리얼에서의 환경설정 파일 개요
- DefaultEngine.ini, DefaultGame.ini 파일이 생성되어 다양한 정보를 담는다.
- 오브젝트나 변수 초기화 값을 코드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다.
섹션
[/Script/ModuleName.ClassName] // 모듈.클래스
[/Script/PluginName.ClassName] // 플러그인.클래스
[/PathToUAsset/UAssetName.Name] // BP에셋경로.에셋이름
[MyConfing] // 커스텀 섹션 -> 변수에 수동 세팅
섹션 이름은 알파벳 스트링으로 작성할 것.
Key-Value
- 배열
!
- 콘텐츠 비우기.=
이후의 값을 무시.+
- 배열 요소 추가(중복X).
- 배열 요소 추가(중복O)-
- 배열 요소 제거
- 구조체
- 요소 나열
- 스트링
- 이스케이프 문자, 16진수, UTF시퀀스 지
[배열]
MyArray = 1 // 배열 전체 삭제 이후 1 추가
!MyArray = ClearArray // 전체삭제
+MyArray = 2 // 배열에 2추가
.MyArray = 2 // 배열에 2가 있지만 또 추가
-MyArray = 2 // 배열의 2 제거
[구조체]
MyStruct=(MyStructProperty1=Value1,MyStructProperty2=Value2,...)
[스트링]
+MyStringSubstitutes="ja;\u53f0\u6e7e;"
// ja 코드의 표시를 台湾의 유니코드인 \u53f0\u6e7e로 변경
// 해당 예시는 별도로 확인 필요
언리얼에서의 환경설졍 변수 사용
//My.ini
[/Script/MyModule.MyClass]
MyVariable=3
// MyClass
UCLASS(config=Game)
class AMyClass : public UObject
{
UPROPERTY(Config)
int32 MyVariable;
}
- UCLASS 선언에서 읽어들일 파일 카테고리 지정(Game 카테고리 지정 예시)
- UPROPERTY로 읽어들일 클래스 내 변수를 Config 마킹
- ini파일에 모듈과 클래스, 그리고 변수 명을 정확하게 기입.
위는 자동 적용 방법이다. 수동 적용 방법은 하단 참고자료 링크를 통하여 확인하기.